<--! ielts 라이팅 7점 달성법 -->

ielts 라이팅 7점 달성법

필그램

·

2017. 8. 4. 00:52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어떤 분이 쓰신 글입니다.

상당부분 동의하기에 내용을 올려봅니다.


저의경우 스피킹 부분만 5.5 -> 6 으로 올리는데 6개월이라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절대 안넘더라고요.  하지만 스피킹을 준비하면서 특이한점은 리스닝과 리딩도 더 늘게 되었습니다.  영어는 기본과 요령을 같이 공부해야지, 요령만 공부해서는 전과목 아이엘츠 6점을 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학원이나 동영상에서 알려주는 요령은 나의 실력을 100% 발휘하여 점수를 얻게 한다는데 동의합니다.



>> 이하, 다른분의 경험글 입니다.


ielts 라이팅

 

  과목이 제일 부담스러웠습니다.

 

라이팅 5.5에서 6.0 금방 올랐지만 

6.0에서 7.0으로 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역시 공짜로 되는것은 없었습니다.

시간과 노력을 지불해야 ielts 라이팅 점수가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모든 것에 적용되는 말이지만우리들은 최소한의 노력만 지불하고최고의 ielts점수를 받고 싶어합니다.

 

뭔가 ielts 라이팅을 독학으로또는 최소한의 비용 (시간노력연습으로 얻으려고 하지만 더욱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돌아 돌아 뿐입니다.

 

최적의 계획을 짜서가장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시간노력  제반비용을 아끼는 길입니다. (모든일에마찬가지겠지만)

  

저도 ielts 라이팅 공부를 가장 적게하고 어떻게든 0.5 올려보려고갖은 요령을 피웠으나 모든 요령은 깨달음  얻기 위한수행과정이었습니다.

 

깨달음이란공부는 정직하다는것나도 정직해야 ielts 라이팅실력이 오른다는것.

 

 

이제 ielts 라이팅 준비시 절대로 하지 말아야  사항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그것은 바로요령 피우기

 

제가 ielts 라이팅의 모든 요령을  피우고 실패를 검증했기 때문에 당당히 소개할  있습니다.

 

[ielts 라이팅, 이것만은 절대 하지마라]

 

1. 전형적인 서론과 결론 모듈 또는 탬플릿 외우기본론은 끼워 맞춰쓰기

 

**채점관 서론과 결론을 일정한 모듈 또는 탬플릿을 사용해서 쓰는 학원의 방법을 이미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는 IDP주최 ielts 설명회에서 실제 시험관이 이야기  내용입니다.  

이런 낌새가 있을 경우 서론과 결론 빼고채점 한다고 말했습니다.

 

** 보면티가난다고 합니다

왜냐하면서론과 결론은 뭔가 전문가적으로 썼는데 본론이 문체가 너무나 다르고오류가 많이 보인다는 겁니다

전체적으로 연결도 안되고수준이 차이가 난다는것.

(역지사지로 우리가 외국인이  한글 라이팅을 보면그러한 꼼수가  보이지 않을까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ielts학원을 다니다 보니똑같은 예와 내용이 많아서 시험관들도 지겹다고 합니다

(모두 똑같은 ielts학원에 가다보니 생긴 병패죠.)

 

 

2. 대충 라이팅의 구조만 파악하고 쓰기

    (서론 본론 결론, firstly, secondly .. in conclusion 이런거 넣어서

 

**구조는 뭔가 라이팅 같지만읽는 IELTS시험관이 보기에는 poor 에세이일 뿐입니다.

 

**Lexical Resource (단어채점 기준주제에 따른 용어들이 있습니다.

환경주제라면환경에 대한 단어들이 있을것이고 기술이라면컴퓨터나 인터넷에 대한 단어들도 있습니다.

 

이런 표현에 대한 공부없이라이팅 점수가 나오지 않습니다.

왜냐면, Lexical Resource (단어라는 채점 기준에 미달되기 때문입니다.

 

 

 

3. 라이팅 토픽 원하는것이 무엇인지 생각 오래 안하고비슷한 주제에 대해  내려가기

 

**이것은 정말 아까운 경우인데,

   왜냐하면 점수를 가장 많이 딸수 있는 가장~쉬운 부분이었기 때문입니다.

 

**토픽을  이해하는것이 IELTS라이팅의 1점을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이런 ielts라이팅 토픽을 보시죠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서 현대인들은 여러가지 업무 (쇼핑은행업무기타 등등) 컴퓨터를 통해서 한다

그래서 사람들과 직접 만나서 일하는 기회가 별로 없으므로이러한 현상이 사람들을  외롭게 하고 고립되게 만든다.

어느정도로 동의하는가?

 

이런 질문은 "어느정도로?" "동의하는가 안하는가?"   두개가 핵심입니다.

 

내가 강하게 동의하는지

어떤부분은 동의하지만 다른부분은 아닌것도 있긴한데전반적으로는 동의하는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