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안에있는 자막 추출해 공부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 -->

넷플릭스 안에있는 자막 추출해 공부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

필그램

·

2019. 6. 17. 06:51

[MS Word의 복작한 수정작업 없이 가능한 방법 소개]

1. 넷플릭스를 크롬 브라우저로 연다.

2. 자막을 끈다. 

즉, 아무자막도 안나오게 하는 것입니다.



3. F12  키보드를 누릅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크롬 브라우저 설정메뉴의 Developer Tool 의 메뉴가 열립니다. 이것은 프로그래머가 웹프로그램 테스트 해보도록 도와주는 메뉴입니다.  잘안될경우 아래의 그림처럼 엽니다. (이것은 맥북의 설정을 연 화면입니다.)



브라우저 오른쪽 위의 ... 을 누른뒤 More Tools 누르고, Developer Tools 누릅니다.  맥북의 단축키는 사진처럼 Shift + Command + |  입니다.


4. 다음단계에 크롬의 개발 툴이 아래 그림처럼 나오면,  표시한 부분을 누릅니다.



1번: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2번: 클리어를 선택

3번: Hide Data URL 선택

4번: 입력란에   ?o= 를 적습니다. 여기서 o는 영문 소문자 o 입니다.




아.. 하나더

5번: 맨아래의  All을 선택합니다.


주의 !! 여기서 화면이 모바일로 나올경우

    아래처럼요...




  

    이런 경우에는 

     PC 화면으로 변경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핸드폰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pc 또는 모바일, 탭 등의 화면으로 전환해서 보여줍니다.





5.  왼쪽 넷플릭스 화면에서 자막을 켭니다.




그러면 개발자 화면에 다음 파일이 있다고 나옵니다.





맨 윗줄인데 계속 파일이 추가되면, 넷플릭스 화면을 정지하고 리스트의 맨위로 올려봅니다.


숫자 ?o= 영문자 가 이름으로나옵니다.


이 파일을 클릭하고 마우스 오른버튼을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명령어 선택리스트가 나오는데, 이때 새창으로 열기를 선택하면,


윈도우즈는 저장을 요청하고 (이때 확장자를 htm 으로 저장합니다. 예를 들면 friends_season10_ep1.htm 처럼 구분가게 저장합니다.)

맥북은 자동 저장합니다. (탐색기에서 파일명을 보기 편하도록 바꿔줍니다.)





6. 거의 다끝났군요.

이 저장파일을 구글의 Docs 로 열어야 편합니다.


먼저 구글 Drive 로 파일을 올리고 파일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무엇으로 파일을 열지 선택화면이 뜹니다. (사진은 파일명을 Download5_5로 저장한것입니다.)





7. 구글 Docs의 화면이 자동으로 파일을 엽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워드로 열면 좀 많이 손봐야 하는데 구글 Docs는 알아서 정리해주는 편리한 면이 있습니다.





끝~~~


이 방법을 알기 전까지는 따로 자막파일을 받아 봤었는데, 좋은 것 같아 공유합니다.


(추가) 잘안되신다고 하는분들이 있어서 추출법을 영상으로도 만들어 봤습니다.



반응형